식품의약품안전처, 감기약 신속대응 시스템 구축 '운영'

식약처 “수급 모니터링 결과 코로나 확진자 대비 공급량 충분”

노명숙 | 기사입력 2022/08/05 [06:59]

식품의약품안전처, 감기약 신속대응 시스템 구축 '운영'

식약처 “수급 모니터링 결과 코로나 확진자 대비 공급량 충분”

노명숙 | 입력 : 2022/08/05 [06:59]

[시사매거진넷=노명숙]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해열진통제, 기침·가래약 등 감기약 수급이 특정 품목 또는 일부 지역 약국에서 불균형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하기 위해 4일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함께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오는 8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일선 약국에서 성인 및 소아 대상의 감기약을 보다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은 신속한 구축·운영을 위해 현재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운영 중인 ‘소량포장 의약품 공급 안내 시스템’을 활용한다.

 

소량포장 의약품 공급 안내 시스템은 약국에서 소포장 의약품의 공급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품목의 제약업체에서 공급 일정을 안내하는 것이다.

 

대한약사회는 공급이 불안정하다고 파악한 감기약 10개 품목을 매주 선정하고, 식약처는 해당 품목을 포함해 동일한 성분 제제 목록을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거쳐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에 입력한다.

 

제약업체는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에서 제품 목록을 확인해 자사의 해당 제품 재고 현황에 따라 ‘공급 가능 여부’를 입력한다.

 

이후 약국은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에서 제약업체가 ‘공급 가능’으로 입력한 품목 목록을 확인해 필요한 감기약을 거래 도매상 등에 공급을 요청한다.

 

▲ 확진자 대비 감기약 수급 현황(7.18. ∼ 7.31.)  ©



한편 식약처는 181개 의약품 제조·수입업체가 생산·수입하는 감기약 1839개 품목의 수급 현황을 조사했고, 지난 2주 동안 1159개 품목이 생산·수입돼 유통 중인 것으로 파악했다.

 

특히 지난 7월 18일부터 31일까지 감기약 수급 현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주간 생산·수입량 및 출하량, 재고량으로부터 산출된 각각의 치료 가능 환자 수는 지난 1주 동안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수와 비교했을 때 공급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 운영과 모니터링이 감기약 수급 불안 해소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앞으로도 의·약 전문가 단체, 제약·유통협회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불편함 없이 감기약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함평군, 함평파크골프장 운영 문제점 개선 ‘시동’(2) / 노광배
전주시 사회복지관 6개소 사회적고립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 노광배
곡성군, ‘부산 유기농·친환경 귀농귀촌 박람회’ 참가 / 노명숙
정길수 전남도의원, ‘해양 방사능 감시시스템’ 확대 설치요청 / 노명숙
전남교육청, 다문화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 노명숙
전북교육청학생수련원 수능 끝낸 고3 위한 힐링캠프 실시 / 노광배
임실군, 31개 마을에 무선방송시스템 설치 완료 / 노광배
장수한우지방공사, 서울평화문화대상서 축산업발전대상 수상 / 노광배
완주군, 다문화가정 시어머니 관계 향상 교육 / 노광배
정기명 여수시장, 전남여수산학융합원 초청 특강 / 이계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