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운반·저장 R&D 토론회서 전문가 의견 수렴"

산업부, 104개 요소기술·343개 세부 기술 확보 방침

노광배 | 기사입력 2022/08/05 [07:12]

산업통상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운반·저장 R&D 토론회서 전문가 의견 수렴"

산업부, 104개 요소기술·343개 세부 기술 확보 방침

노광배 | 입력 : 2022/08/05 [07:12]

[시사매거진넷=노광배]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핵심 요건인 ‘운반 및 저장 분야 R&D 기술 로드맵’ 토론회를 열어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달 20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R&D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각 기술 분야별로 구체적인 논의를 하기 위한 후속 조치로, 운반분야 10개 요소기술과 저장분야 20개 요소기술에 대한 R&D 추진방안이 논의됐다.

 

산업부는 고준위 방폐물 안전 관리에 필요한 운반·저장·부지·처분 분야 104개 요소기술과 343개 세부 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운반 분야 토론에서는 즉시 활용가능한 상용화 기술 확보를 목표로 방폐물 종류별 운반 용기의 설계·제작·검사 기술, 운반 시스템의 설계·운영 및 안정성 입증을 위한 기술 확보 방안 등을 협의했다.

 

▲ 고준위 방폐물 운반‧저장 R&D 기술 로드맵 전문가 검토그룹 및 산・학・연 전문가 등 7인  ©



방폐물의 안전한 저장을 위해 필수적인 저장 시설 및 용기 설계, 원전-중간저장시설 연계, 방사선 및 사고영향분석 등 안전성 평가 기술 등에 대한 추진전략 및 투자계획 등도 검토했다.

 

특히 선도국과의 기술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운반·저장 분야는 상용화에 근접한 용기 설계·제작 기술과 원전 호기 간 운반기술 등을 산업계 주도로 조기에 국산화해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오는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기술 확보에 1조 4000억원을 투입한다. 이 중 운반 분야에는 223억원, 저장 분야에는 124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서기웅 산업부 장관정책보좌관은 “부지 내 고준위 방폐물의 안전한 반출을 위한 운반 기술과 저장 시설 확보 및 안전성 평가 등을 위한 저장 기술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의 핵심”이라며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과학적 합리성과 기술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적 신뢰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달 28일에는 원자력 연구기관이 밀집한 대전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에서 ‘부지 및 처분 분야 토론회’를 개최해 부지평가와 안전 처분을 위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함평군, 함평파크골프장 운영 문제점 개선 ‘시동’(2) / 노광배
전주시 사회복지관 6개소 사회적고립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 노광배
곡성군, ‘부산 유기농·친환경 귀농귀촌 박람회’ 참가 / 노명숙
정길수 전남도의원, ‘해양 방사능 감시시스템’ 확대 설치요청 / 노명숙
전남교육청, 다문화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 노명숙
전북교육청학생수련원 수능 끝낸 고3 위한 힐링캠프 실시 / 노광배
임실군, 31개 마을에 무선방송시스템 설치 완료 / 노광배
장수한우지방공사, 서울평화문화대상서 축산업발전대상 수상 / 노광배
완주군, 다문화가정 시어머니 관계 향상 교육 / 노광배
정기명 여수시장, 전남여수산학융합원 초청 특강 / 이계춘